결산절차 순서 알아보기입니다. 현업의 전표 마감이 끝나면 본격적인 결산 작업을 시작합니다. 결산 조정항목은 회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결산 절차는 유사하므로 결산의 순서와 고려해야 할 공통적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임시계정 정리 전표 처리시 임시계정 또는 가계정으로 분개하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이는 분개 시점에 계정과목이 불분명하거나 시점에 차이가 날 때, 또는 시스템 2개의 인터페이스에서 1개의 거래가 처리될 때 흔히 사용합니다. 이 계정들은 재무제표에는 표시되지 않는 계정으로 결산시 최우선적으로 정리합니다. 대표적인 임시계정으로는 매출가계정·매입가계정·청구가계정·입금가계정·가수금·가지급금 등이 있습니다. 2. 발생주의 조정 회계기준에 의하면 수익 인식기준은 발생주의로 처리하게 되어 있으..
계정과목코드·조직코드·거래처코드가 전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마스터 코드 성격이라면 여기서 다룰 전표유형·자산코드·세무코드 등은 전표입력 및 사후 처리를 위한 회계관리 코드입니다. 한 번 설정하면 크게 변동이 없는 코드들로 시스템에 세팅되어 있지만 회계 실무자라면 어떤 코드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세무 관련코드 부가가치세와 원천세는 전표가 입력되는 단계에서 세금코드가 정확히 입력되어야 자동으로 세무신고서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세금코드는 회사의 사업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세금 유형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며 전표 유형을 정의할 때 시스템의 거래 유형별로 입력되는 세금코드를 지정합니다. 세금코드가 다른 거래일 경우 전표도 분리해 입력합니다. 부가가치세에서 매출과 매입 관..
거래를 할 때는 누구와 거래하는지 거래처를 반드시 기록해야 하는데 판매 거래와 구매 거래를 구분해 고객customer과 구매처vendor라고 합니다. 전사 거래처 관리도 회계 및 자금부서에서 주관하기 때문에 거래처를 관리하는 기본원칙, 고객과 구매처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거래처 관리의 기본원칙 거래처를 구분하는 기본 단위는 법적 기준으로 정합니다. 사업자는 사업자등록번호, 개인은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전사 한 사업자당 한 개의 코드를 갖습니다. ‘1 사업자 1 코드’ 원칙을 부여하는 것은 거래처 중복으로 인한 보이지 않는 손실들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거래처의 코드가 중복된다면 동일 거래처에 대해 관리해야 할 데이터가 2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이고, 통합 관리를 위한 별..
계정과목코드체계와 관리 절차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회계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계정과목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미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것입니다. 회계의 시작은 계정과목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계정과목을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 하는 것은 훌륭한 정보를 만들기 위한 기초 토대를 구축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제 기업들의 계정과목코드체계와 관리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업관리 수준의 세분화 계정과목코드는 일반적으로 4~6레벨로 구성합니다. 계정과목코드의 시작인 레벨 1은 무조건 회계기준에서 정하는 재무제표 구성항목에서 출발합니다. ① 재무상태표의 자산, ② 재무상태표의 부채, ③ 재무상태표의 자본, ④ 손익계산서의 수익, ⑤ 손익계산서의 비용이라는 5가지 기준에서 코드 번호가 부여됩니다..